개발

[Linux] Swap Space를 통해 가상메모리 추가하기

목차. 1. 계기 2. 적용 과정 2-1. htop을 통한 서버 상태 확인 2-2. Swap Space 적용 2-3. Swap Space 제거 1. 계기 필자는 해커톤, 학교 과제, 공모전 등에서 서버로 AWS EC2 프리티어를 자주 애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EC2 프리티어의 최대 메모리(RAM)은 1GB 이고, 운영서버에서 이를 초과하면 인스턴스는 바로 죽어버린다. 당연히 ssh 접속도 안되며, AWS-CLI나 패널 등을 통해 인스턴스를 재부팅해야만 한다. 사실 메모리를 늘리면 해결될 일이지만, 돈을 안들이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고민을 하던 도중.. 대학교 컴퓨터 구조 시간에 배운 가상메모리가 떠올라서 Swap Space을 적용을 시켜보았다. Swap Space은 가상..

2020.08.08 게시됨

일상

[인생] 네이버 웹툰 개발자 인턴

2020년에 네이버 웹툰 체험형 인턴십에 선발되어 약 3개월 가량 인턴생활을 하였다.당시 대학교를 졸업한 상황이 아니여서, 학교에 취업계를 내고 인턴생활을 하였다. 학교 과제와 인턴 과제가 겹쳤을땐 얼마나 짜릿했는지.. ㅎㅎ 직무 서버개발  채용 프로세스 서류 전형 - 오프라인 면접 1회 (기술면접 + 코테) - 인턴 인턴 후기 학부생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것들을 배웠다.이전까지만 해도 나는 AWS 조금, Spring 조금 이런형태로만 배웠었는데 당장 인턴을 시작하니 k8s, gRPC, Kotlin, Spring WebFlux, Redis, Memcacheded등친숙하지 않은 기술들이 여기저기서 튀어나왔다. 오죽했으면 내가 인턴 서류와 함께 자신있게 냈던 프로젝트들이지금보면 아무것도 아닌 애들장난으로 ..

2020.07.26 게시됨